충북보건환경연구원, 병천천의 주요 수질오염원은 축산계


충북보건환경연구원은 2022년 2월부터 11월까지 미호강의 지류 하천인 병천천의 수질오염 평가를 실시한 결과 주요 오염원은 축산계이며,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병천천 유역은 현재 4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가 추진 중에 있으나 병천A 유역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목표 수질인 2.3mg/L를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병천천은 충북보건환경연구원 수질측정망 금강수계 하천 18개 중 최근 3년(`19 ~ `21)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평균 농도가 가장 높아 수질 개선을 위해 본류뿐만 아니라 소하천 위주의 세부적인 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

병천천의 수질오염을 평가하기 위해 주요 유입 지천인 광기천, 승천천, 용두천 세 곳을 선정하고, 각 하천 대표지점 및 병천천 본류 8지점 등 총 11지점에 대하여 매달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등 13항목을 분석하였다. 또한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로 구분하여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을 분석하고, 기여율을 평가하였다.

수질분석 결과 승천천의 평균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농도는 3.7mg/L로 유입지천 세 곳 중 가장 나쁜 수질을 보였고, 용두천과 광기천에서 평균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각각 1.6mg/L, 2.3mg/L로 병천천 본류(2.5mg/L)와 비교해 깨끗한 수질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21년 전국오염원조사 자료를 토대로 병천천 유역의 지천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배출부하량을 조사한 결과 승천천이 1,685.6kg/day로 가장 높았고, 용두천 1,154kg/day, 광기천 657.4kg/day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승천천 90.1%, 용두천 76.4%, 광기천 92.1%로 세 지천 모두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오염원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배출부하량 기여율을 평가한 결과 승천천은 축산계(73.1%) > 토지계(18.4%) > 생활계(7.4%), 용두천은 축산계(51.5%) > 토지계(25.4%) > 생활계(21.4%), 광기천은 축산계(78.7%) > 토지계(16.5%) > 생활계(4.7%)로 나타났다. 3개 하천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배출부하량 중 축산계가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67.8%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성렬 환경조사과장은 “병천천 본류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의 보급 확대 등 승천천 유역의 비점오염 저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한 “병천천은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에 걸쳐있어 수질 개선을 위해 연구자료를 관련 시-군에 공유하여 병천천 수질 개선 대책마련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며, “병천천 수질 개선은 충북도에서 추진 중인 미호강 맑은물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JD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정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