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산화탄소 신산업(CCUS) 육성을 위한 기술 및 대응 교류의 장 마련

충청북도(도지사 김영환)와 단양군(군수 김문근)이 주최하고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이사장 김문근)에서 주관한 ‘충북 석회석산업 탄소중립 포럼’이 지난 21일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시멘트 산업, 석회 제조 산업 관계자 및 탄소중립 관련 연구원, 대학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단양 소노문리조트에서 열렸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도 차원의 지원방안 모색과 탄소중립 산업 대전환 비전 수립을 위해 탄소중립 전문가가 발표했으며 이어 패널 토론으로 심도 있는 논의도 진행했다.
주요 발표 주제는 ‘석회석 산업의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 기술 △석회석 산업의 탄소광물화 기술 및 상용화 전망 △석회석 산업의 화학적 전화 기술 및 사업화 전망 △석회석 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방향 △기업과 지자체의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CCUS 활성화 전략이었다.
패널 토론은 석회석 업종 및 탄소중립 분야 전문가가 ‘충북 북부권의 탄소중립을 위한 CCUS 신산업 활성화 전망’을 주제로 진행했다.
석회석 산업은 재료 특성상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이는 산업공정 분야 중 약 8%를 차지한다.
충북 북부권은 석회석이 많이 부존하는 석회석 산업 대표 지역으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이산화탄소 감축 및 신산업 육성이 필요하며 기술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단양군 소재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는 국책 R&D과제 및 충청북도의 ‘석회 제조산업 탄소중립 대응 기술 지원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석회석 분야의 원료 및 연료전환 기술에 대한 연구와 정책 분야 대응을 위해 산·학·연·관으로 이뤄진 석회석 산업 탄소중립 협의체를 지난 5월에 구성했다.
이를 기반으로 충북지역 석회석 산업 분야 탄소중립 포럼을 주관하는 등 석회 산업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과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신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문근 단양군수는 “석회·시멘트 산업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CCUS가 우리 지역의 미래를 이끌어 갈 것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JD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정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