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수자원위성' 띄운다…가뭄·녹조·적조 등 감시

- 모의표적 및 차량·항공 실험 통해 홍수·가뭄 등 감시 활용 가능성 검증
- 수자원위성 지상모델은 항공우주연구원 등 국내 연구진 통해 자체 제작해


▲ 수자원위성 예상 모형(안) 및 세부 구성품(안)

JD News 유소진 기자 = 정부가 내년(2022년)부터 4년간 1,427억원을 투입해 공간홍수예보, 가뭄 및 녹조·적조 등을 감시하는 한국형 차세대 중형위성인 수자원위성을 오는 2025년에 발사 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9월 30일 한서대 태안비행장에서 수자원위성의 지상모델 현장실험 및 시연회를 열고, 핵심기술 국산화 및 개발 준비 사항을 점검했다.

또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정부 부처와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해 지상모델 제작 과정을 공유하고, 모의표적 및 차량·항공 실험 등을 통해 홍수·가뭄 등 감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했다.


수자원위성 지상모델은 항공우주연구원 등 국내 연구진을 통해 자체 제작한 것으로, 이날 현장실험에 앞서 신호발생 및 송·수신시험, 연동시험 등을 거쳤다.

현장실험에서는 수자원위성 지상모델을 장착한 차량과 항공기를 이용해 보령댐 유역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광역 관측 실험을 했으며, 수자원 관측에 필요한 영상품질도 검증했다.

또한 위성에 탑재된 것을 가정해 지상모델 장비를 차량에 탑재한 뒤에 이동 중에 영상레이더 관측 및 영상화 과정을 시연했다.

이어 광역 고해상도 관측용으로 국내 개발 중인 영상레이더 고속 빔포밍 시제품을 점검했고, 관련 장비를 항공기에 탑재해 보령댐 유역을 대상으로 영상을 확보하고 댐수위 등의 정보(수자원인자)를 관측하는 실험을 했다.

아울러 현장실험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관측된 정보를 활용해 댐·하천 유역의 물탐지, 토양수분 산정, 수리구조물 안전성 감시 등에 적용성을 평가해 수자원위성의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시스템 개발 방안도 논의했다.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기후위기시대에 안전한 물관리를 위해 홍수, 가뭄 및 녹조 등을 효율적으로 감시하는 데 수자원위성의 역할이 기대된다”면서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개발(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이해 수자원위성 개발사업을 통해 국내 민간 위성산업의 육성과 해외수출 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되는 수자원 전용 위성은 우리나라 수재해 대응기술을 한 단계 격상시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성공적인 수자원위성 개발로 하천 전역의 물샐 틈 없는 첨단 관측체계를 구축해 수재해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이번 현장실험을 통해 보다 나은 고품질 영상관측이 가능하도록 지상모델을 안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내년부터 수자원위성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해 2025년 성공적인 수자원위성 발사를 추진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JD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소진 기자 다른기사보기